본문 바로가기
머니텔러

1년 동안 2번 퇴직 했을 때 종합소득세 신고는?

by 리치텔러 2023. 5. 2.
반응형

 

 연말정산이란 내가 1년동안 벌어들인 금액(소득)에 카드로 쓴돈, 병원에 쓴돈과 자녀(인적공제)등의

공제항목을 빼고 소득세법에서 인정하는 소득금액(과세표준)을 산출해서 소득세율을 적용해 계산합니다.

그리고 1년동안 내가 달달이 낸 세금(원천징수) 보다 세금이 많으면 추가납부하고 적으면 돌려 받는

세금신고입니다. 

그 중에 근로소득자는 재직 중인 회사에서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을 대신 신고해 주는데요.

그걸 저희는 연말정산이라고 합니다.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1년이란 기간동안 한 회사에 다닌다면 회사에서 대신 연말정산(근로소득세 신고)를 해주겠지만,

 중간에 퇴사를 하거나 이직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 1월 부터 3월까지 회사를 다니다가 중도에 회사를 그만 둔다면 내가 사용한 카드값이라든지

   병원비등 공제하지 않고 퇴사하는 회사에서는 중도퇴사자 연말정산을 합니다.

 

- 중도퇴사자 연말정산을 하게 되면 우리는 세금을 더 내게 될까요? 덜 내게 될까요?

  공제항목을 빼고 계산했으니 세금은 기본적으로 더 내게 됩니다.

  그러나 근로소득금액이 적다면 납부할 수도 있긴 합니다만  많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 세금을 더내거나 덜 냈다면 다시 돌려받거나 추가로 세금을 납부해야하나요?

  그래서 중도퇴사자의 경우에는 5월달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신고를하고 세금을 추가납부 하거나 환급받습니다.

 

중도퇴사자의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1. 중도퇴사 후 재취업(재직중인 회사에서 연말정산 시기 까지 추가 이직 없을 경우)

    - 현재 다니는 회사에서 연말정산 한다고 제출서류 요청하면 취업중인 회사의 프로세스에 따라

      진행하시면 됩니다.

    - 다만 중도퇴사했던 회사에서 중도퇴사할때 받았던 원천징수영수증 취업중인 회사에 추가

      제출하셔야 됩니다.

      만약 원천징수영수증을 못 받으셨다면 퇴사한 회사에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2. 중도퇴사 후 재취업(12.31이전까지 근무/2번취업과 같음)

   - 중도퇴사한 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과 12.31까지 근무했던 원천징수 영수증을 챙기셔야합니다.

   - 그리고 2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을 토대로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하셔야 합니다.

 

3. 중도퇴사 후 미취업

   - 중도퇴사 후 미취업 추가 소득이 있을 경우

     5월 종합소득세 신고시 중도퇴사한 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영수증 및 추가소득에 대한 금액을

     추가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 중도퇴사 후 미취업 추가 소득이 없을 경우

     추가 소득이 없고 원천징수영수증 상(첫번째장)에 결정세액이 0원이라면 특이한 경우가

     있지 않는 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결정세액이 0원 초과라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공제항목을 추가하면 환급세액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예시1) a회사 1월 ~ 6월 근무         소득금액 1800만원 / 결정세액 30만원 

         b회사 7월 ~ 9월 근무         소득금액   900만원 /  결정세액     0 원

         c회사 10월 ~ 12월 근무     소득금액   900만원 /  결정세액      0원

 

        이렇게 근로소득이 발생을 했다고 해봅시다.

 

        이럴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는 1월~12월까지의 소득금액을 모두 더하여 신고 합니다.

        왜냐 1년간의 근로소득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업소득등 다른 소득이 없을 경우)

 

        그렇게 1년간 총 근로소득이 3600만원이 되고 그 3600만원에 대한 세금을 현재 30만원만 낸것이죠

 

       *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더니 결정세액이 50만원이 나온 경우

         - 30만원은 이미 납부를 했으니 20만원에 대해 납부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더니 결정세액이 20만원이 나온 경우

         - 이미 30만원의 세금을 냈는데 종합소득세 계산을 해봤더니 20만원만 내면 됬던 것입니다.

            그래서 10만원 환급을 받으면 되는 것입니다.

 

 

예시2) a회사 1월 ~ 6월 근무         소득금액 1800만원 / 결정세액     0원

           b회사 7월 ~ 9월 근무         소득금액   900만원 /  결정세액     0 원

           

         *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더니 결정세액이 0원이 나왔을 경우에 환급은?

            기본적으로 환급이란 내가 낸 세금을 돌려 받는 것으로

           세금 낸게 없어서 환급 받을 것도 없는 것입니다.

 

 

 

 

* 환급은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후 1개월 이내에 환급을 받으시게 됩니다.

   대략 6월 말 정도에 받으시게 됩니다.

 

 

* 퇴직한 회사의 원천징수영수증 보는 Tip

 

원천징수영수증 예시

        -  72번의 결정세액         = 내가 내야할 세금의 확정 금액

        -  74번의 기납부세액     = 내가 매월 납부한 세금 

        -  76번의 차감징수세액 = 내가 환급( -로 표기시에 환급/ - 489,200 환급받음 )이나

                                                 내가 납부 ( - 표시 없으면 납부 / 489,200 이라면 납부)로 표시 

        tip. 근로소득세를 다 계산했는데 냈어야 할 세금이 695,154원 인데 

              이미 매월 급여에서 조금씩 납부한 금액이 1,184,180원 이면 

              내가 세금을 더 납부한 금액만큼 돌려주는 것입니다.

 

       

 

 

 

 

종합소득세 개인지방세는 따로 신고해야 하나요?

종합소득세는 국세로 홈택스에서 신고 납부합니다. 홈택스 링크 국세청 홈택스 Copyrightⓒ National Tax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ww.hometax.go.kr 개인지방세는 지방세로 위택스에서 신고 납부합니다. 위

richteller.com

 

반응형

댓글